직무 · 모든 회사 / 모든 직무
Q. 연구직에서 품질로 직무변경
안녕하세요 학부연구생+석사 후 연구원2년차입니다. 학부연구생과 석사에서는 나노입자+약물쪽으로 연구를하다가 현재 연구원으로서는 고분자와 반도체 공정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건강상의 이유로 연구원에서 다른 직무로 이직을 희망합니다. 석사인정 안받고 연구원 경력 인정을 안받아도 되고 신입 이직을 희망합니다. 1. 이직시 연구원 경력인정은 안받되, 경험과 역량어필을 하고싶어서 찾아본 바로는 품질팀이 좀 유사한 것 같고 저와도 잘 맞을 것 같았습니다. 현재 산업이 반도체 산업은 아니고 고분자쪽에 반도체 공정도 추가가된 느낌이지만 제 경우에 반도체 산업으로 품질팀 가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2. 저희 회사의 품질qa qc와 반도체 회사의 품질qa qc는 다른 것 같은데 어떤 차이인지, 연구원 경험으로는 뭐가 좋을지와 해당 직무를 위해 어떤 자격증 등이 있어야 유리한지 귱금합니다. 3. 추가로 제 경험으로는 어느 직무로 가는게 유리할지 추천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11.13
답변 1
함께 읽은 질문
Q. 산학협동인턴십 vs 공부
안녕하세요, 26년 2월 졸업 예정인 막학기 학생입니다. 비상경계열이고 현재 마케팅, 기획 혹은 금융권 취업에 관심이 있는 상태입니다. 공기업을 준비할까 싶었는데 찾아보니 2학기에 학교에서 진행하는 산학인턴십 기관이 많더라구요. 한국투자증권도 채용연계형 인턴을 모집중이던데, 제가 현재 원하는 분야로는 실무 경험이 하나도 없어서 인턴십을 하는 게 맞을지, 아니면 2학기에 수업을 적게 들으면서 공부를 하는게 맞을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Q. 산업안전기사 vs 공조냉동기계기사
저는 지거국 기계공학과를 복수전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생산기술, 품질관리, 설비중에 고민중입니다. 일반기계기사는 취득하였고 산안기랑 공냉기 두개중에 고민중인데 어떤 자격증을 취득하는게 유리할까요 ?
Q. 나노포토닉스와 반도체나노광소자
현재 물리학과에 재학중이며, 나노포토닉스와 반도체나노광소자를 주로 연구하는 교수님 연구실에서 학부연구생을 하고있습니다. 제가 반도체 공정기술이나 공정설계직무 혹은 반도체 장비사에 관심이 있는데, 이런 직무와 학부연구생이 어느정도 핏한건 맞는 지 궁금합니다. 취업 때 스펙으로 기술할 수 있는 부분으로 될 수 있을까요?
궁금증이 남았나요?
빠르게 질문하세요.